임팩트
임팩트(Contact=Impact)
임팩트가 이루어 지려면 테이크 백 상태에서 전진스윙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전진 스윙에서 중요한 것은 회전시켰던 몸을 다시 풀며
스윙 동작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합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체중은 뒷발인 오른발(오른손잡이의
경우)에 있어야 볼을 밑에서 위로 올려치는 스윙을 할 수
있어 회전을 줄 수 있습니다.
선수들이 강한 탑스핀 샷을 만들기 위해 뒷발의 체중을
지면에서 박차며 스윙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강한 탑스핀을 만들기 위한 조건중에 하나가 라켓 헤드
스피드 입니다.
당연히 라켓 헤드의 속도가 빠르게 이루어 진다면 그만큼
회전을 더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스피드를 올리기 위해 흔히 라켓 그립으로 볼을 치는 것
처럼 하라는 내용이 많은데, 저는 손바닥과 손목사이의 관절,
즉 손목관절의 안쪽으로 볼을 치는 느낌으로 스윙을 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테이크 백 상태에서 이미 손목을 뒤로
꺽은 채로 전진 스윙을 하게 되는데 가장 앞에 나와 있는 부분이
바로 이 손목관절의 안쪽(바닥쪽)으로서 이 부분으로 볼을 친다는
생각을 한다면 가장 좋은 헤드 스피드를 가져 올거라 생각합니다.
와이퍼 스윙을 할 경우에는 상체를 블록(block) 시키라는 표현을
요즘에 많이 씁니다. 저는 블록시킨다는 표현을 예전에는 들은지가
없어서 처음에는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블록시킨다는 표현은 와이퍼 스윙의 테이크 백에서 상체회전을
풀며 스윙을 할때 몸의 상체가 상대편쪽(정면)을 가르키는 순간에
마치 벽에 부딪쳐 순간적으로 멈추게 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상체의 역회전과 오른발에서 왼발로의 체중이동을 임팩트와
함께 순간적으로 멈추는 것입니다.
이 임팩트를 상체로 블록시켜서 그만큼 순간적인 파워와 예리한
샷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이 와이퍼 스윙을 별로 하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적확하게는
말씀드릴 수가 없음을 양해 바랍니다.
임팩트 지점에서는 몸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는것이 좋고,
때로는 앞쪽으로 약간 길우어져도 괜찮습니다. 다만 뒤쪽으로
기울어져 상체가 열리는 일은 없도록 하십시오. 상체가 열리게
되면 볼이 아웃되는 일이 빈번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