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의 준비 동작이 왜 중요한가
PRE-SERVE ROUTINE이란?
다음의 질문을 통해 일정한 규칙을 정해 놓고 서비스를 구사하고 있는
가(PRE-SERVE ROUTINE)를 스스로 평가해보라.
첫째, 당신은 서비스를 넣을때마다 항상 동일한 준비자세를 취하고 있
는가?
둘째, 당신은 서비스를넣을 때마다 항상 일정한 스탠스와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는가?
셋째, 당신은 항상 일정한 습관대로(볼을 두세번 코트에 바운드 하는
등) 준비 자세를 취하 고, 또 항상 같은 방식으로 볼을 토스하
는가?
서비스의 사전 절차는 실전에서 자신감과 컨트롤을 강화시켜 준다. 선
수마 다 서비스를 준비하는 자세와 방법은 같을 수 없다. 때문에 다른
선수가 사용하는 준비 동작을 모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의 정확성과 안 정성을 높일 수 있는 준비 동작이라면 충분하다. 서비
스의 사전 준비 동작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면 포인트의 득실에 상관
없이 항상 만족스러운 플 레이를 펼치게 될 것이다.
다음은 5단계 PRE-SERVE ROUTINE의 한 예다.
첫째, 어깨를 쭉 펼치면서 숨 을 들이쉰 후 움츠리면서 숨을 내쉰다.
둘째, 서브의 목표 지점을 결정한 다.
셋째, 볼을 코트에 바운드 시키면서 준비 자세를 취한다.
넷째, 서브가 목표 지점에 들어가는 것을 머리속에 다시 한번 그린다.
다섯째, 『자, 다시 하자』란 말을 내뱉으며 마음을 다진다.
PRE-SERVE ROUTINE의 목적은 자신감 강화
서비스의 사전 준비 동작은 포인트 획득에 필요한 안정감과 자신감을
심어 준다. 이러한 준비 동작을 철저히 따르고 지킬때 포인트의 득실
에 상관없이 당신은 항상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매치 포
인트와 같은 중요한 포인트에 상관없이 일정한 과정을 거친 서비스가
자동적으로 구사될 때 더욱 능동적이고 의욕적인 플레이를 펼치는 자
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 다.
다음의 몇가지 질문을 통해 자신이 서비스의 중요성을 어느정도 인식
하고 있는가를 스스로 평가해보라.
첫째, 당신은 게임을 리드하거나 리드당하고 있을 때 첫 서브와 같은
리듬과 의도대로 두 번째 서브를 구사할 수 있는 가?
둘째, 당신은 브레이크 포인트와 같은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가장
효과적인 서브를 구사하였을 때 그 서브의 리듬과 목적에 변화
가 없는가? 셋째, 매 서브마다 항상 같은 리듬과 목적을 갖고서
일정한 과정을 거친 서 비스를 구사할 수 있는가?
만약 위의 세 가지 질문에 모두 긍정적인 답변을 할 수 있는 선수라면
서비 스의 사전준비 동작을 철저히 따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느 한 가지라도 확실한
대답을 할수 없다면 서비스의 준비 동작 강화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PRE-SERVE ROUTINE의 목적은 서비스의 정확성과 안정성 강화에 있지만
최종 목적은 공격적이고 능동적인 플레이를 펼칠 수 있는 자신감을 갖
도록 하는 것이다.
PRE-SERVE ROUTINE 강화법
1. 서비스 코트를 가로로 정확히 3등분한다. 서비스 라인쪽에 가까운
첫째 와 둘째 공간만을 이용한다. 첫 서브는 첫째 공간, 세컨드 서
브는 둘째 공 간(또는 그 반대로)등 일정한 룰을 정해 서비스 연습
을 한다. 목표 지점에 서브가 들어갔을 때는 15-0, 그렇지 않을 때
는 0-15로 포인트를 매겨 최소 한2세트가 끝날 때까지 혼자서 연습
한다. 코치는 점수를 정확히 매겨 발전 정도를 체크한다.
2. 서비스 코트를 구분짓지 않고 혼자서 1세트 혹은 2세트 동안 서브
연습 을 한다. 이 때도 1번 연습과 같은 방식으로 포인트를 부여한
다. 서비스의 정확성 강화에 중점을 둔 1번 연습과 달리 서비스의
사전 준비 동작 강화에 목표를 두고 서브를 넣을 때마다 「PRE-SER
VE ROUTINE」을 철저히 지킨 다.
3. 다음은 PRE-SERVE ROUTINE 단련 연습 게임이다. 첫째, 서버는 베이
스라 인 뒤로 물러나 자신만의 PRE-SERVE ROUTINE을 실시하며 준비
자세를 취한 다. 둘째, 이 때 리시버는 네트로 걸어나온 후 제자리
로 돌아가 리턴 준비 자세를 취한다. 셋째, 서버는 네트에 볼이 걸
리도록 서브를 한다. 넷째, 리시버는 볼이 네트를 넘어왔다고 가정
하고 리턴을하되 볼이 실제로 서비스 라인에 들어왔을 때는 네트에
걸리도록 리턴을 한다.
4. 서브의 안정성과 정확성 강화 연습게임. 0-15, 15-30, 0-30, 0-40
등 서브의 불리한 상황을 설정하고 연습 게임을 한다. 이때 서브후
의 플레이보다 서브의정확성과 안정성에 주안점을두고 실전을 한다
5. 0-40에서 게임이 끝나는 실전을 최소한 1세트 이상 연습한다
'취미생활 >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치 (0) | 2010.06.08 |
---|---|
임팩트 (0) | 2010.06.08 |
로브의 종류 (0) | 2010.06.08 |
테니스 관련 사이트 모음 (0) | 2010.06.03 |
테니스 관련 사이트 링크모음 (0) | 2010.06.03 |